전체 글22 시간복잡도 시간복잡도란 "특정 알고리즘이 어떤 문제를 해결하는 데 걸리는 시간"이다. 하지만 사용자마다 사양의 차이가 있어 시간을 측정해서 알고리즘을 평가하기에는 어려움이 있기에 시간을 측정하기보단 코드에서 성능에 많은 영향을 주는 부분을 찾아 예측하는것이다.즉, 시간복잡도는 알고리즘의 효율성을 평가하기 위한 지표 중 하나로, 입력 크기(데이터의 양)가 증가함에 따라 알고리즘의 수행 시간이 어떻게 변하는지를 수학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시간복잡도는 프로그램의 실행 속도를 예측하고, 성능을 비교할 때 중요한 개념이다. 시간복잡도를 나타내는 표기법에는 최선의 경우인 한번에 찾는 Big- Ω(빅오메가)최악의 경우인 배열의 길이만큼 걸리는 Big-O(빅오)평균의 경우인 배열의 길이 중간 만큼 걸리는 Big- Θ(빅세타)가 .. 2024. 10. 22. Unity 오브젝트를 스크립트로 찾는법 1. GameObject.Find("찾고자 하는 오브젝트 이름");특정 이름을 가진 오브젝트를 직접적으로 찾는 방법이다.장점:간단하고 직관적, 특정 이름의 오브젝트를 찾고 싶을 때 바로 사용할 수 있다.단점: 성능 문제: 이름으로 오브젝트를 찾는 방식은 씬 내 모든 오브젝트를 검색하기 때문에 성능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특히 많은 오브젝트가 존재하는 큰 씬에서 자주 호출된다면 성능 저하가 심해질 수 있다.오타 문제: 문자열로 오브젝트 이름을 찾기 때문에, 이름이 바뀌거나 오타가 있는 경우 원하는 오브젝트를 찾지 못한다. 이로 인해 디버깅이 어려워질 수 있다.탐색 문제: 오브젝트가 활성화 되어있어야지만 탐색이 가능하다.사용 권장 상황:적은 오브젝트를 다루는 씬이나 일회성 검색일 때 유용하다.2. .. 2024. 10. 18. 자료구조와 알고리즘 자료구조는 데이터가 어떤 구조로 저장되고 어떻게 사용되는지를 말한다가장 단순한 자료구조로는 변수가 있다.그외에도 배열, 연결리스트 등의 다양한 자료 구조가 있다. 알고리즘은 특정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련의 단계적 절차나 방법이다.단순하게 말하면 변수 3개의 평균을 구할때 그 방법으로3개의 변수를 모두 더한뒤 3으로 나눈다 같은 방식이다.자료구조마다 알고리즘의 접근방식이 달라질 수 있고 같은 자료구조와 같은 답에도 여러가지의 알고리즘이 있을 수 있다.알고리즘에도 정렬알고리즘, 검색알고리즘들을 비롯해 다양한 알고리즘들이 있다. 자료구조와 알고리즘의 중요성에 대해 이야기 하자면 효율적인 자료구조와 알고리즘의 선택은 프로그램의 성능과 확장성에 큰 영향을 미친다. 예를 들어, 대량의 데이터를 처리할 때 적절한 .. 2024. 10. 18. unity asset store에서 받은 Sprite Image를 tile에 채울때 Tile과 Image 사이즈가 안맞을때 위와같이 asset store 에서 받아온 image를 TileFalette에 추가후 Tile object에 지정해주는데 각 칸에 이미지가 꽉 채워지지않는 현상이 발생했다.잘못추가한건가 싶어 껏다키기도하고 지웠다가 다시 추가해보기도하고 했지만 이유를 알수 없었고튜터님께 질문했더니Image의 사이즈와 Sprite의 Pixel Per Unit의 차이가 있어 발생하는 문제였다.Image의 사이즈와..Sprite의 Pixel Per Unit을...맞춰주면...!원하는대로 잘 들어간 모습을 볼 수 있다. 2024. 10. 16. Scene변환시의 주의점 123456789101112131415161718public class NameInput : MonoBehaviour{ public InputField playerNameInput; private string playerName = null; //마우스 public void InputName() { playerName = playerNameInput.text; if (playerName.Length >= 2) { GameManager.name = playerName; SceneManager.LoadScene("SampleScene"); } }} Colored by Color Scri.. 2024. 10. 14. 강의 듣는중.. 어제와 오늘은 강의를 듣고있다. 사실 예전 졸업작품을 만들때도 unity를 사용했고 그당시에는 3d로 했다.그중에 유니티에서 스크립트를 만들면 자동으로 monobehavior 를 상속해와서 쓰는건 알고있었고start, update, awake 등 여러가지 기능들을 사용할 수 있었고 대충 어떤 성능들인지는 알고있었지만구조나 작동원리에 대해서는 자세히 알지 못했던것같다. 사실 졸업작품을 만들었다고 어디 으스대거나 자랑하고 다닌적도없고 오히려 다른사람들껄 보면서 다른사람이 너무 대단하게 느껴졌지만..요즘들어 더닝 크루거 이펙트를 더욱 크게 실감하는거같다. 좀더 열심히 공부하자.. 2024. 10. 8. 이전 1 2 3 4 다음